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지난시간까지 DevStack을 이용하여 오픈스택을 설치해보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설치할때마다 하나하나 화면을 캡쳐해야 하고, 명령어를 전부 스크랩해야만 했었지만, 많은 분들이 방문해 주시고, 도움을 많이 받았다는 메시지에 힘이 나는 것 같습니다. 


이전에 설치한 DevStack은 가장 기본적인 nova-network로 오픈스택을 설치하였습니다. nova-network는 nova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IP를 할당할 수 있는 개수가 제한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젝트가 바로 Neutron입니다. Neutron은 다양한 SDN 스위치 플러그인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VLAN, 터널링 등의 네트워킹 방식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Neutron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플러그인인 ML2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L2 (Modular Layer 2)

ML2는 Havana 버전을 릴리즈 하면서 처음으로 나온 플러그인으로, IceHouse에서 기본 플러그인으로 채택되었습니다. ML2는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했던 OpenvSwitch, Linuxbridge 대신 다양한 네트워크 형태와 메커니즘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ML2를 사용하면 OpenvSwitch, Hyper-V, OpenDaylight와 같은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스위치와 Arista나 Cisco의 Nexus와 같은 실제 물리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스위치를 사용하여 VLAN, GRE, VxLAN, Flat 방식의 네트워킹 타입을 지원합니다.



ML2 타입 드라이버 (Type Drivers)

Neutron 설치를 들어가기에 앞서 ML2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킹 방식을 이해를 하고 있어야만 어떤 네트워크 타입으로 설치할 것인지, Neutron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ML2 타입 드라이버로 지원되는 VLAN 방식, GRE 터널링 방식, VxLAN 방식이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LAN (Virtual LAN)

일반적으로 한대의 스위치에서는 하나의 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랜(LAN: Local Area Network)은 소규모의 사무실이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방식입니다. VLAN은 아래 그림과 같이 물리 스위치는 한대인데, 그 안에 가상으로 나누어진 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많은 회사와 많은 사용자들이 가상 인스턴스(서버)를 생성하는 오픈스택 역시 이런 VLA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스택에서 VLAN을 사용하려면 Neutron을 설치하면 VLA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eutron의 기본 플러그인 ML2 역시 VLAN을 지원합니다. 아래 그림은 VLAN 모드의 컴퓨트 노드에 생성된 VM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GRE (Generic Route Encapsulation)

GRE는 인터넷 프로토콜 위에 가상 PTP(Point to Point)를 제외한 다양한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범위를 캡슐화 할 수 있는 터널링 프로토콜로 시스코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GRE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 간 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만들기 위해 PPTP(Point to Point Tunneling Protocol)과 함께 사용됩니다. GRE는 기존 데이터 패킷을 암호화하여PPP 헤더가 있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구성됩니다. 아래 그림은 R1에서 R4 사이에 터널이 형성이 되고, 해당 터널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오픈스택 Neutron을 GRE 모드로 설치했을 경우 컴퓨트 노드에 생성된 VM은 다른 컴퓨트 노드와 통신을 할 경우 터널링 된 경로로 패킷을 주고 받게 됩니다.



VxLAN (Virtual Extensible LAN)

VxLAN은 대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할 때 필요한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한 가상 네트워크 기술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VLAN을 사용하여 MAC 기반의 OSI 레이어 2 이더넷 프레임 안에 레이어 3 UDP 패킷을 캡슐화한 기술입니다. VxLAN을 처음 접하고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오버레이에 대해 알고 있으면 VxLAN을 이해할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오버레이는 데이터센터 내에 구축된 물리 네트워크 장비 위에 가상의 얇은 도화지를 올려 놓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로 다른 컴퓨트 노드의 VM들간에 통신을 할 경우 새로 올려 놓은 도화지 위에 가상의 터널을 그리고, 그 터널을 통해서 통신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때 새로 그린 가상의 터널이 바로 VxLAN 터널인 것입니다.


메커니즘 드라이버 (Mechanism Drivers)

ML2는 타입 드라이버 이외에 메커니즘 드라이버를 제공합니다. 기존 Neutron을 설치할 경우에는 Linuxbridge나 OpenvSwitch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이때 어떤 컴퓨트 노드는 Linuxbridge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컴퓨트 노드는 OpenvSwitch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경우 이 두 컴퓨트 노드는 서로 연동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나온 개념이 바로 ML2의 메커니즘 드라이버인 것입니다. 메커니즘 드라이버의 Agent는 기존에 사용하던 OpenvSwitch, Linuxbridge, Hyper-V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Arista 메커니즘 드라이버나 Cisco Nexus 메커니즘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컴퓨트 노드마다 서로 다른 Agent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ML2 플러그인으로 모두 연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설치된 서로 다른 Agent들은 아래 그림의 Modular Agent로 추상화 되어 어떤 Agent가 와도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해서 오늘은 Neutron의 기본 플러인 ML2의 모든 것에 대해 제가 알고 있는 모든 것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매일 매일 봐도 어렵기만 한 네트워크지만 기본 개념을 알고 시작한다면 조금은 더 접근하기 쉬울꺼라 생각이 듭니다. 

그럼, 다음시간까지 모두들 열공하세요~~~ ^^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