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꿈이 현실이 되는 아주 기분 좋은 꿈을 꾸었습니다. 꿈인줄만 알았는데, 꿈이 아니였습니다. 삼년전 오픈스택이라고 하는 낯선 꿈을 만났습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워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습니다. 그래서, 늘 연구하고 밤을 세워 보고 또 봤습니다. 눈이 내리던 어느날이였습니다. 보고 보고 또 보고 하다가 시간이 가는줄 모르고 그렇게 추운 연구실 한 구석에서 밤을 지새운적도 있었습니다. 엄마 손이 많이 필요한 딸아이를 아빠한테 맡긴채 주말에도 연구실에서 혼자 그렇게 보고 또 봤습니다. 낯선 곳에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게 해주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수 있게 해 준 그 곳~!! 바로 기술 커뮤니티입니다. 평일 퇴근후에 기술 커뮤니티 세미나를 찾아다니면서 많은 것들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안녕하세요~!!정말 오랜만에 글을 써보는것 같습니다. 그동안 이사를 하느라 글을 쓸 시간이 없었거든요~~~ 오늘부터 다시 글 쓰기에 도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 많이들 기다리셨죠?? 지난 시간에 Neutron을 설치하고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를 함께 그려봤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데브스택을 이용하여 Neutron 오픈스택을 한번 설치해 보도록 해 보겠습니다. 데브스택을 이용하여 오픈스택 Neutron을 설치 할 경우 PC 한대에 모든 컴포넌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VLAN 모드나 GRE 모드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VLAN모드나 GRE 모드는 여러 컴퓨트 노드에 설치할 경우에 필요한 것이며, 우리가 생성한 PC 한대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Flat 방식의 Neutro..
안녕하세요~!!! 지난주에는 이것저것 할일이 참 많았던 한 주였던것 같습니다. 매일 매일 강좌를 올리자 하고 맘을 굳게 먹었건만, 할일이 많으니 쉽지가 않는 노릇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반성하는 의미로 다시 열심히 글을 올려봅니다. 지난 시간에는 네트워크 서비스인 Neutron의 기본 드라이버인 ML2에 대한 것들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었습니다. 오늘부터는 실제로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반드시 네트워크 구성도를 그려보아야 합니다. 네트워크 구성도를 그려보지 않고 설치를 하게 되면 환경설정에서 어떤 IP를 설정해야 할 지 몰라 당황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번에도 어떻게 IP를 설정할 지 네트워크 구성도를 먼저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IP 공..
안녕하세요~!! 지난시간까지 DevStack을 이용하여 오픈스택을 설치해보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설치할때마다 하나하나 화면을 캡쳐해야 하고, 명령어를 전부 스크랩해야만 했었지만, 많은 분들이 방문해 주시고, 도움을 많이 받았다는 메시지에 힘이 나는 것 같습니다. 이전에 설치한 DevStack은 가장 기본적인 nova-network로 오픈스택을 설치하였습니다. nova-network는 nova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IP를 할당할 수 있는 개수가 제한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젝트가 바로 Neutron입니다. Neutron은 다양한 SDN 스위치 플러그인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VLAN, 터널링 등의 네트워킹 방식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Neutron에서..
안녕하세요~!! DevStack으로 오픈스택 설치는 모두 완료되었을꺼라 생성을 합니다. 오늘은 Dashboard에 접속도 해보고, Dashboard를 이용하여 첫 번째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인스턴스 생성 1. 우선 아래 그림처럼 Dashboard에 접속합니다. 2. DevStack 설치 시 설정하였던 localrc 파일의 Admin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관리자 페이지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3. 관리자 페이지를 둘러보고 이번에는 demo 사용자로 로그인을 합니다. Demo 사용자의 패스워드 역시 localrc 파일의 Admin 패스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인스턴스 생성은 Dashboard의 인스턴스 메뉴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인스턴스 메뉴를 들어가..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는 오픈스택을 설치하기 위한 서버를 준비하고 서버에 우분투 리눅스도 설치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오픈스택을 설치하기에 앞서 쉽게 우분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는 어떻게 구성할지, 네트워크 IP는 어떻게 가져가면 될지를 먼저 그림으로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댜.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한 우분투 서버 접속자주 사용하는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됩니다.일단 버철박스 명령창에서 ifconfig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IP 정보를 확인합니다. 확인된 IP와 설치시 입력했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접속합니다. 이런건 검색엔진에 많이 검색되니 제가 굳이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 오픈스택을..
안녕하세요~!! 앞시간에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한 가상서버 생성과 설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이번에는 우분투 서버를 생성한 가상서버에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생성된 가상 머신을 선택한 후 상단의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실행 버튼이 클릭되는 순간 콘솔 창이 새롭게 뜨면서 우분투 언어 설정 창이 뜹니다. 이때 한국어를 선택하셔도 상관이 없으나, 설치 후 우분투 업데이트나 오픈스택 설치 시 패키지를 못 가져와 별도로 설정해 주는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그냥 영어로 설치를 하며, 여기서는 영어로 설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우리는 우분투 서버를 설치할 것이므로 “Install Ubuntu Server”를 선택하고 엔터를 칩니다. 4. 언어를 선택하라는 창이 뜨..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오픈스택 설치에 대해 글을 써 보려 합니다. 그 전에 오픈스택을 설치할 서버가 필요한데요~!! 그 비싼 테스트 서버를 어떻게 준비하느냐~!! 바로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해서 준비하려고 합니다. 테스트이니 굳이 비싼 서버가 없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대신 서비스를 하고 싶다 그러면 곤란하겠지요~!! 그 전에 제가 처음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하던 그때 이야기를 잠시하고 가겠습니다.제가 처음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했을 때 설치했던 방법이 바로 DevStack이였습니다. 우분투 서버에 DevStack 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받고, 환경설정을 해 준 뒤 stack.sh 만 돌리면 자동으로 오픈스택이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DevStack이 쉽다고 만만하게 보시면 절대 안됩니다. 다만, 다른 설..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는 것 같습니다. 많이들 기다리셨죠? 그동안 정말 바뻤거든요~~ 그래서, 글을 쓸 시간이 없었어요... ㅠ 저희 아이가 8살이라 올해 학교에 들어갔어요~ 그래서 아이와 저를 위해 얼마전에 회사에 육아휴직을 신청을 했어요. 집에서 쉬니 회사 다닐때보다 할일이 왜 이렇게 많은건지요~~ 정말 바쁘더군요.. 오늘은 큰 맘 먹고 글 하나 써보자 하고 이렇게 블로그에 글 하나 남겨 봅니다. 많이들 좋아해 주시는거죠~~ ^^ 오늘은 지난 강의에 이어 오픈스택의 핵심 기능이자 초창기 프로젝트 멤버였던 컴퓨트 서비스! NOVA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NOVA는 정말 오래되어서 많은 분들이 잘 알고 계실꺼라 생각이 드는데요~~ 그래도 지금 막 시작하시는 분들이나 알고 ..
안녕하세요~!! 지난주부터 텔레비전에는 연일 세월호 참사에 대한 뉴스가 나와 국민 모두를 가슴 아프게 했습니다. 이제 이런 일들은 제발 일어나지를 않기를 간절히 소망해 봅니다. 오늘부터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 중에서도 근래가 가장 핫(Hot)한 OpenStack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으로 오픈스택에 대한 소개를 하는 시간인데 어떤 주제로 소개를 하면 좋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늘 그렇듯이 오픈스택이 언제 처음으로 공개가 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변천사를 거쳤는지에 대한 OpenStack 역사를 다루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오픈스택의 역사! 오픈스택은 2010년 NASA와 Rackspace가 하던 프로젝트를 오픈소스화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된 플랫폼으로써 그 ..
- Total
- 1,107,378
- Today
- 20
- Yesterday
- 114
- 우분투
- 파이썬
- 쿠버네티스
- 뉴트론
- neutron
- cpu
- NOVA
- Swift
- 하이퍼바이저
- 세미나
- 오픈쉬프트
- command
- 설치
- 오픈스택
- Python
-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 네트워크
- OVN
- openstack
- sdn
- 컨테이너
- install
- 하둡
- Redhat
- Java
- 후기
- Network
- ubuntu
- 클라우드
-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