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들어 OpenStack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는 생각을 종종 하곤 합니다. OpenStack에 관심이 없던 회사도 오픈스택이 대체 뭐야? 뭐가 어떻길래 오픈스택~ 오픈스택~ 하는거야? 라는 반응을 보입니다. 오픈스택하면 거들떠보지도 않았던 VMWare와 시스코까지 오픈스택을 지원하겠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오픈스택은 무엇일까요? 오픈스택은 일종의 미들웨어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운영체제와 시스템 사이에서 사용자에게는 자원을 할당해주고 운영체제 하단에서는 가상자원 및 물리자원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픈스택이 가상자원을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나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가상 스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그 외에 데이터베이스 및 이미지를 모두 설치하고 관리해 ..
안녕하세요~!! 오늘은 책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우분투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 볼까 합니다.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의 5장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오픈스택 설치를 다루고 있습니다.제가 설치하고 테스트 했던 우분투 리눅스의 OS 버전은 12.04 LTS 버전이였으며, 오픈스택의 버전은 IceHouse였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10월 16일 오픈스택 Juno가 릴리즈되었고, 우분투 서버 역시 14.04.1까지 버전이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우분투에서 네트워크 IP를 설정하려면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재설정하려면 ubuntu 12.04일 경우에는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명..
안녕하세요~!! 제가 오는 11월 15일 토요일 선릉 D.Camp에서 있을 2014 KCD(Korea Community Day)에서 발표를 합니다.본 세미나는 제가 책을 출간하고 처음으로 하는 세미나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많이 설례이고 긴장이 됩니다. 이번에는 책 내용중 일부인 데브스택으로 오픈스택을 설치할 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에 대해 이야기를 한번 해 볼까 합니다. 오픈스택을 시작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픈스택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 바로 데브스택입니다. 그래서, 질문도 많고, 쉽다고 하는데 삽질도 많이 하는 데브스택 설치시 주의점과 좋은점들을 공유하려 합니다. 또한 책 출간 후 처음으로 하는 세미나인만큼 특별한 이벤트를 진행할까 합니다. 오픈스택 한국 커뮤니티에서 오신 분들 중 2분과 그 ..
안녕하세요~!!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자고 해 놓고 가상서버만 생성하고 아무것도 안하고 있었네요~!! 오늘에서야 다음 강의를 포스팅해 봅니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버철박스를 이용하여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서버에 우분투를 설치했으면 이제부터 오픈스택을 설치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데브스택을 설치하기 전에 사전 준비를 합니다. 사전 준비는 지난 제20강 오픈스택 설치 5편 -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자! 에서 다루었으므로 지난 강의를 참고하여 설치하면 됩니다.이제 DevStack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받고 Neutron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git을 이용해 DevStack 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합니다. stack@ubuntu:~$ gi..
안녕하세요~!! 오늘 꿈이 현실이 되는 아주 기분 좋은 꿈을 꾸었습니다. 꿈인줄만 알았는데, 꿈이 아니였습니다. 삼년전 오픈스택이라고 하는 낯선 꿈을 만났습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워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습니다. 그래서, 늘 연구하고 밤을 세워 보고 또 봤습니다. 눈이 내리던 어느날이였습니다. 보고 보고 또 보고 하다가 시간이 가는줄 모르고 그렇게 추운 연구실 한 구석에서 밤을 지새운적도 있었습니다. 엄마 손이 많이 필요한 딸아이를 아빠한테 맡긴채 주말에도 연구실에서 혼자 그렇게 보고 또 봤습니다. 낯선 곳에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게 해주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수 있게 해 준 그 곳~!! 바로 기술 커뮤니티입니다. 평일 퇴근후에 기술 커뮤니티 세미나를 찾아다니면서 많은 것들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안녕하세요~!!정말 오랜만에 글을 써보는것 같습니다. 그동안 이사를 하느라 글을 쓸 시간이 없었거든요~~~ 오늘부터 다시 글 쓰기에 도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 많이들 기다리셨죠?? 지난 시간에 Neutron을 설치하고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를 함께 그려봤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데브스택을 이용하여 Neutron 오픈스택을 한번 설치해 보도록 해 보겠습니다. 데브스택을 이용하여 오픈스택 Neutron을 설치 할 경우 PC 한대에 모든 컴포넌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VLAN 모드나 GRE 모드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VLAN모드나 GRE 모드는 여러 컴퓨트 노드에 설치할 경우에 필요한 것이며, 우리가 생성한 PC 한대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Flat 방식의 Neutro..
안녕하세요~!!! 지난주에는 이것저것 할일이 참 많았던 한 주였던것 같습니다. 매일 매일 강좌를 올리자 하고 맘을 굳게 먹었건만, 할일이 많으니 쉽지가 않는 노릇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반성하는 의미로 다시 열심히 글을 올려봅니다. 지난 시간에는 네트워크 서비스인 Neutron의 기본 드라이버인 ML2에 대한 것들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었습니다. 오늘부터는 실제로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반드시 네트워크 구성도를 그려보아야 합니다. 네트워크 구성도를 그려보지 않고 설치를 하게 되면 환경설정에서 어떤 IP를 설정해야 할 지 몰라 당황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번에도 어떻게 IP를 설정할 지 네트워크 구성도를 먼저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IP 공..
안녕하세요~!! 지난시간까지 DevStack을 이용하여 오픈스택을 설치해보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설치할때마다 하나하나 화면을 캡쳐해야 하고, 명령어를 전부 스크랩해야만 했었지만, 많은 분들이 방문해 주시고, 도움을 많이 받았다는 메시지에 힘이 나는 것 같습니다. 이전에 설치한 DevStack은 가장 기본적인 nova-network로 오픈스택을 설치하였습니다. nova-network는 nova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IP를 할당할 수 있는 개수가 제한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젝트가 바로 Neutron입니다. Neutron은 다양한 SDN 스위치 플러그인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VLAN, 터널링 등의 네트워킹 방식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Neutron에서..
안녕하세요~!! DevStack으로 오픈스택 설치는 모두 완료되었을꺼라 생성을 합니다. 오늘은 Dashboard에 접속도 해보고, Dashboard를 이용하여 첫 번째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인스턴스 생성 1. 우선 아래 그림처럼 Dashboard에 접속합니다. 2. DevStack 설치 시 설정하였던 localrc 파일의 Admin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관리자 페이지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3. 관리자 페이지를 둘러보고 이번에는 demo 사용자로 로그인을 합니다. Demo 사용자의 패스워드 역시 localrc 파일의 Admin 패스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인스턴스 생성은 Dashboard의 인스턴스 메뉴에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인스턴스 메뉴를 들어가..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는 오픈스택을 설치하기 위한 서버를 준비하고 서버에 우분투 리눅스도 설치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오픈스택을 설치하기에 앞서 쉽게 우분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는 어떻게 구성할지, 네트워크 IP는 어떻게 가져가면 될지를 먼저 그림으로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댜.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한 우분투 서버 접속자주 사용하는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됩니다.일단 버철박스 명령창에서 ifconfig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IP 정보를 확인합니다. 확인된 IP와 설치시 입력했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접속합니다. 이런건 검색엔진에 많이 검색되니 제가 굳이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성 오픈스택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오픈쉬프트
- openstack
- 뉴트론
- 후기
- Swift
- Python
- 김미경
- 클라우드
- 명령어
- install
- cpu
- 설치
- 네트워크
- ubuntu
- neutron
- Java
- Redhat
- 쿠버네티스
- 파이썬
- 레드햇
- 우분투
- 컨테이너
- Network
- 세미나
- command
- 하둡
- 오픈스택
- NOVA
- OVN
- sd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