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OpenStack Class] 제26강 Neutron 설치 3편 - DevStack을 이용한 오픈스택 설치!
naleejang 2014. 10. 27. 23:34안녕하세요~!!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자고 해 놓고 가상서버만 생성하고 아무것도 안하고 있었네요~!! 오늘에서야 다음 강의를 포스팅해 봅니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버철박스를 이용하여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서버에 우분투를 설치했으면 이제부터 오픈스택을 설치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데브스택을 설치하기 전에 사전 준비를 합니다. 사전 준비는 지난 제20강 오픈스택 설치 5편 -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자! 에서 다루었으므로 지난 강의를 참고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이제 DevStack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받고 Neutron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git을 이용해 DevStack 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합니다.
stack@ubuntu:~$ git clone git://github.com/openstack-dev/devstack.git Cloning into 'devstack'... remote: Reusing existing pack: 16318,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7,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7/7), done. remote: Total 16325 (delta 2), reused 1 (delta 0) Receiving objects: 100% (16325/16325), 4.13 MiB | 289 KiB/s, done. Resolving deltas: 100% (11176/11176), done. |
2. devstack 이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되었는지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확인합니다.
stack@ubuntu:~$ ll total 24 drwxr-xr-x 3 stack stack 4096 Mar 7 11:23 ./ drwxr-xr-x 5 root root 4096 Mar 7 11:20 ../ -rw-r--r-- 1 stack stack 220 Apr 4 2012 .bash_logout -rw-r--r-- 1 stack stack 3486 Apr 4 2012 .bashrc drwxr-xr-x 10 stack stack 4096 Mar 7 11:24 devstack/ -rw-r--r-- 1 stack stack 675 Apr 4 2012 .profile stack@ubuntu:~$ |
3. 이번에는 localrc 파일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ocalrc 파일은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서비스의 설치 유무를 결정할 수 있고, nova-network로 설치할 것인지, neutron으로 설치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single node, neutron 방식으로 DevStack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ack@ubuntu:~/devstack$ vi localrc ########################### # Date : 2014.10.27 # # Name : naleejang # ########################### # Devstack localrc for neutron all-in-one
# default HOST_IP=10.0.3.15 DEST=/opt/stack
# logs LOGFILE=$DEST/logs/stack.sh.log VERBOSE=True LOG_COLOR=False SCREEN_LOGDIR=$DEST/logs/screen
# network ip FLOATING_RANGE=192.168.0.0/24 PUBLIC_NETWORK_GATEWAY=192.168.0.100 Q_FLOATING_ALLOCATION_POOL=start=192.168.0.200,end=192.168.0.250
# neutron - networking service DISABLED_SERVICES=n-net ENABLED_SERVICES+=,q-svc,q-agt,q-dhcp,q-l3,q-meta,q-metering,neutron
# neutron - load balancing ENABLED_SERVICES+=,q-lbaas
# heat - orchestration service ENABLED_SERVICES+=,heat,h-api,h-api-cfn,h-api-cw,h-eng HEAT_STANDALONE=True
# ceilometer - metering Service (metering + alarming) ENABLED_SERVICES+=,ceilometer-acompute,ceilometer-acentral,ceilometer-collector,ceilometer-api ENABLED_SERVICES+=,ceilometer-alarm-notify,ceilometer-alarm-eval
# system password ADMIN_PASSWORD=openstack MYSQL_PASSWORD=openstack RABBIT_PASSWORD=openstack SERVICE_PASSWORD=openstack SERVICE_TOKEN=tokentoken |
4. localrc 파일 설정이 완료되면 stack.sh를 실행하고, 30여분정도를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stack@ubuntu:~/devstack$ ./stack.sh |
이렇게 해서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설치한 오픈스택을 이용하여 Neutron 네트워크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요!! ^^
'OpenStack Cla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tack Class] 제28강 Neutron 설치 5편 - Neutron 네트워크 생성2~!! (3) | 2014.11.04 |
---|---|
[OpenStack Class] 제27강 Neutron 설치 4편 - Neutron 네트워크 생성1~!! (4) | 2014.11.03 |
[OpenStack Class] 제26강 Neutron 설치 3편 - DevStack을 이용한 오픈스택 설치! (13) | 2014.10.27 |
[OpenStack Class] 제25강 Neutron 설치 2편 - 버철박스 가상서버 생성! (4) | 2014.10.20 |
[OpenStack Class] 제24강 Neutron 설치 1편 - 네트워크 구성도 그리기! (7) | 2014.10.06 |
[OpenStack Class] 제23강 네트워크 서비스인 Neutron을 알아보자! (1) | 2014.09.29 |
-
서인석 HOST_IP 가 없다고 정지합니다. 한 줄 추가 해 주셔야 할 듯 합니다. 2014.10.28 09:38
-
naleejang 그래요?? 추가해 줘야 겠네요~~~ 2014.10.28 11:56 신고
-
김명철 안녕하세요. 자세한 설명과 예제 화면으로 많은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따라 오면서 많은 것을 배웠는데.. 이번 강의에서 여러번 오류가 발생해서 이렇게 코멘트를 남깁니다.
어디에서 문제가 있는지 몰라서 설치만, 여러번 하고 있습니다.
[vi stack.sh.log.summary]
2014-11-28 07:36:13.489 | stack.sh log /opt/stack/logs/stack.sh.log.2014-11-28-163613
2014-11-28 07:36:19.543 | Installing package prerequisites
2014-11-28 07:37:10.851 | Installing OpenStack project source
2014-11-28 07:38:47.908 | Configuring Ceilometer
2014-11-28 07:39:08.788 | Installing Tempest
2014-11-28 07:39:10.744 | Starting RabbitMQ
2014-11-28 07:39:11.900 | Configuring and starting MySQL
2014-11-28 07:39:12.253 | Enabling MySQL query logging
2014-11-28 07:39:20.932 | Starting Keystone
2014-11-28 07:41:21.786 | Configuring and starting Horizon
2014-11-28 07:41:43.205 | Configuring Glance
2014-11-28 07:42:04.240 | Configuring Neutron
2014-11-28 07:42:38.442 | Configuring Cinder
2014-11-28 07:42:52.019 | Configuring Nova
2014-11-28 07:43:27.822 | Starting Glance
2014-11-28 07:43:39.526 | Uploading images
2014-11-28 07:44:07.026 | Starting Nova API
2014-11-28 07:44:18.959 | Starting Neutron
2014-11-28 07:44:47.077 | Creating initial neutron network elements
2014-11-28 07:45:04.257 | Starting Nova
2014-11-28 07:45:51.728 | Starting Cinder
[stack.sh.log]
..
2014-11-28 07:46:41.406 | ++ echo -ne '\015'
2014-11-28 07:46:41.409 | + NL=$'\r'
2014-11-28 07:46:41.410 | + [[ -n '' ]]
2014-11-28 07:46:41.410 | + screen -S stack -p c-api -X stuff '/opt/stack/cinder/bin/cinder-api --config-file /etc/cinder/cinder.conf & echo $! >/opt/stack/status/stack/c-api.pid; fg || echo "c-api fa'led to start" | tee "/opt/stack/status/stack/c-api.failure"
2014-11-28 07:46:42.781 | + echo 'Waiting for Cinder API to start...'
2014-11-28 07:46:42.781 | Waiting for Cinder API to start...
2014-11-28 07:46:42.781 | + wait_for_service 60 http://10.0.3.15:8776
2014-11-28 07:46:42.781 | + local timeout=60
2014-11-28 07:46:42.781 | + local url=http://10.0.3.15:8776
2014-11-28 07:46:42.781 | + timeout 60 sh -c 'while ! curl -k --noproxy '\''*'\'' -s http://10.0.3.15:8776 >/dev/null; do sleep 1; done'
2014-11-28 07:47:44.743 | + die 456 'c-api did not start'
2014-11-28 07:47:44.973 | + local exitcode=0
2014-11-28 07:47:45.317 | [Call Trace]
2014-11-28 07:47:45.317 | ./stack.sh:1283:start_cinder
2014-11-28 07:47:45.317 | /home/stack/devstack/lib/cinder:456:die
2014-11-28 07:47:47.576 | [ERROR] /home/stack/devstack/lib/cinder:456 c-api did not start
2014-11-28 07:47:49.159 | Error on exit
2014.11.28 16:56 -
naleejang 안녕하세요~!! 김명철님
cinder에서 오류가 발생을 하는것 같네요~!!
어떤방법으로 어떻게 설치를 하셨는데 환경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실수 있는지요? 제 메일이 nalee999@gmail.com입니다. 여기로 내용 보내주시면 도움을 드릴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14.11.28 17:03 신고 -
ㅎㅎㅎ stack@ubuntu:~$ 에서
stack@ubuntu:~/devstack$ 디렉토리로 어떻게 이동하신건가요???
stack@ubuntu:~$에서 vi stackrc명령어를 입력했다가 이상한데 갇혔었네요 ㅎㅎ 2015.11.13 16:00 -
naleejang 헉~~ 이런 질문을.. ㅠㅠ
cd devstack 으로 디렉토리를 이동하셔야죠~!! 2015.11.16 23:01 신고 -
ㅇㅇㅇ # Devstack localrc for neutron all-in-one
# default
HOST_IP=192.168.4.50
DEST=/opt/stack
# logs
LOGFILE=$DEST/logs/stack.sh.log
VERBOSE=True
LOG_COLOR=False
SCREEN_LOGDIR=$DEST/logs/screen
# network ip
FLOATING_RANGE=192.168.4.0/24
PUBLIC_NETWORK_GATEWAY=192.168.4.100
Q_FLOATING_ALLOCATION_POOL=start=192.168.0.55,end=192.168.0.99
# neutron - networking service
DISABLED_SERVICES=n-net
ENABLED_SERVICES+=,q-svc,q-agt,q-dhcp,q-l3,q-meta,q-metering,neutron
# neutron - load balancing
ENABLED_SERVICES+=,q-lbaas
# heat - orchestration service
ENABLED_SERVICES+=,heat,h-api,h-api-cfn,h-api-cw,h-eng
HEAT_STANDALONE=True
# ceilometer - metering Service (metering + alarming)
ENABLED_SERVICES+=,ceilometer-acompute,ceilometer-acentral,ceilometer-collector,ceilometer-api
ENABLED_SERVICES+=,ceilometer-alarm-notify,ceilometer-alarm-eval
# system password
ADMIN_PASSWORD=openstack
MYSQL_PASSWORD=openstack
RABBIT_PASSWORD=openstack
SERVICE_PASSWORD=openstack
SERVICE_TOKEN=tokentoken
이런식으로 localrc를 설정하고 설치하는데
[ERROR] /home/stack/devstack/functions-common:2001 ENABLED_SERVICES directly modified to overcome 'disable_service n-net' 이런 에러가 발생하네요 nova_network설치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하였습니다. 2015.11.17 17:56 -
naleejang 근래에는 저도 설치를 안해봐서 어떤 식으로 하는지 모르겠지만, 오픈스택 공식 문서에 의하면
All-in-One Single Machine에 설치할 때는 아래와 같은 local.conf를 사용하고,
====
[[local|localrc]]
FLOATING_RANGE=192.168.1.224/27
FIXED_RANGE=10.11.12.0/24
FIXED_NETWORK_SIZE=256
FLAT_INTERFACE=eth0
ADMIN_PASSWORD=supersecret
DATABASE_PASSWORD=iheartdatabases
RABBIT_PASSWORD=flopsymopsy
SERVICE_PASSWORD=iheartksl
SERVICE_TOKEN=xyzpdqlazydog
===
Neutron 설치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local.conf로 설치하면 된다고 공식 문서에 나와 있습니다.
===
[[local|localrc]]
HOST_IP=172.18.161.6
SERVICE_HOST=172.18.161.6
MYSQL_HOST=172.18.161.6
RABBIT_HOST=172.18.161.6
GLANCE_HOSTPORT=172.18.161.6:9292
ADMIN_PASSWORD=secrete
DATABASE_PASSWORD=secrete
RABBIT_PASSWORD=secrete
SERVICE_PASSWORD=secrete
SERVICE_TOKEN=secrete
# Do not use Nova-Network
disable_service n-net
# Enable Neutron
ENABLED_SERVICES+=,q-svc,q-dhcp,q-meta,q-agt,q-l3
## Neutron options
Q_USE_SECGROUP=True
FLOATING_RANGE="172.18.161.0/24"
FIXED_RANGE="10.0.0.0/24"
Q_FLOATING_ALLOCATION_POOL=start=172.18.161.250,end=172.18.161.254
PUBLIC_NETWORK_GATEWAY="172.18.161.1"
Q_L3_ENABLED=True
PUBLIC_INTERFACE=eth0
Q_USE_PROVIDERNET_FOR_PUBLIC=True
OVS_PHYSICAL_BRIDGE=br-ex
PUBLIC_BRIDGE=br-ex
OVS_BRIDGE_MAPPINGS=public:br-ex
=== 2015.12.10 10:24 신고 -
둥이범 안녕하세요~
앞장까지 잘 쫒아오다가 저도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햇는데요..
[ERROR] /home/stack/devstack/functions-common:2001 ENABLED_SERVICES directly modified to overcom
e 'disable_service n-net' 이런 에러가 발생하네요
localrc 파일에서 DISABLED_SERVICES=n-net 부분을 주석처리하고 재 설치를 하였습니다.
다행이 오류는 발생하지 않았는데 혹 다른 문제가 있는건 아닌지 궁금하네요~~ 2015.12.04 18:00 -
naleejang 아래 오픈스택 공식 문서를 참조해 보세요~!!
http://docs.openstack.org/developer/devstack/guides/neutron.html 2015.12.10 10:25 신고 -
위재형 이전에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제가 devstack 설치하느라 너무 애먹고 있는 상황에서 1번더 질문드립니다. ㅠㅠ
현재 제가 mitaka버전으로 오픈스택 공식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localrc 파일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설정까지 전부 잘 따라왔었습니다.
그런데 /stack.sh 를 실행한 후 데쉬보드로 접속을 할려고하면 Offline compression enabled but key is missing from offline manifest
https://bugs.launchpad.net/horizon/+bug/1155765 해당 오류와 비슷한 오류라서 댓글로 달린 해결책대로 해봤는데도 전혀 되질 않네요 ㅠㅠ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2016.05.06 20:33 -
naleejang 안녕하세요.
제가 아직 이런 경험을 못해봐서 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지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네요. 그런데 로그를 봐서는 인증 서버나 인터넷에 문제가 있어보이네요. 2016.05.12 22:08 신고 -
초보자2 여기서 host ip나 게이트웨이 정보들은 제 컴퓨터 ipconfig에서 알아보고 그걸 적어야 하는건가요? 아니면 우분투 서버에 임시적으로 내가 저 아이피를 쓰겠다 라고 하는건가요?
그리고, 제가 저렇게 작성하고 설치 완료했는데 localhost에 접속이 계속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xshell5도 똑같이 다해줬는데 말이죠 ㅠㅠ
대쉬보드 들어가는건 그냥 크롬 열어서 127.0.0.1 // localhost 라고 적는거 맞죠..?
ㅠㅠㅠ바보같지만 알려주시면 감사합ㄴ디ㅏ ㅠㅠ 2018.02.28 12:56
- Total
- 1,069,763
- Today
- 61
- Yesterday
- 285
- 우분투
- Python
- 오픈쉬프트
- 설치
- install
- 하이퍼바이저
- cpu
- Redhat
- 네트워크
- NOVA
- command
- ubuntu
- 오픈스택
- sdn
- 클라우드
- 쿠버네티스
- Devstack
-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 openstack
- 뉴트론
- grizzly
- 하둡
- Swift
- Java
- 컨테이너
- 후기
- 명령어
- 세미나
- 파이썬
- O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