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일하면서 스크랩했던 즐겨찾기를 한번 정리해 보았다. 무슨일을 했는지 왜 정보들을 찾았는지가 한 눈에 보인다.물론 스크랩 해 놓고 한번도 들어가지 않은 사이트도 많았고, 없어진 사이트도 있었다. 봐도 뭐가뭔지 잘 모르겠는것도 있고, 기억이 안나는 정보들도 있다. 왜 진작에 이렇게 정리해 두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듬과 동시에,... 잘 했다 라는 생각도 든다. [ 영어 ]영어 중독 토크리시 http://talklish.whoru2.com/main/경기도 평생학습 e-배움터http://www.homelearn.go.kr/front/home/MainAction.do?method=indexDaum 어학사전 http://small.dic.daum.net/index.do?dic=eng이근철의 굿모닝 팝스 ..
2011년 9월! 나는 Openstack이라고 하는 오픈 소스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만났다. 그때 막 대두가 되고 있는 것들이 빅데이터, 클라우드, 가상화 라고 불리는 것들이고, 그때 접한 것이 바로 Openstack이였다. 내가 Openstack을 처음 만났을 때는 프로젝트가 시작 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고, 그 누구도 OpenStack을 어떻게 설치하고,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 되지 않았었다. 그때 도전한 것이 바로 Openstack Swift였다. Swift는 Amazon S3와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는 Object Storage이다. 기존에는 물론 Web Hard라고 하는 것이 존재를 하고 있었지만, 그것은 단지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
오픈테크넷에서 세미나를 한 후 저에게 질문을 해 오시는 분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저도 아직 오픈스택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는것이 아니라, 그냥 단지 먼저 삽질을 시작한 것 뿐이고 아직 삽질하지 못한 부분이 더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들이 제가 이전에 겪었던 그래서 커뮤니티 회원의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았던 내용들이라 저도 그 내용을 다시 전파를 해 주었습니다. 오늘은 어떤 분이 cinder 볼륨과 nova 볼륨에 대한 질문을 해 오셨기에 저도 아직 사용해 보지 않은 내용이고 많이 테스트 해 보지 않은 부분이라서 cinder 명령어를 테스트 해 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Cinder 명령어는 nova 명령어와 같이 cinder-manage 로 시작하는 명령어가 있고, cinder로 시작하는 명..
이번에 오픈스택을 설치하고 운영해 보고 사용해보고 또 삽질해 보면서 터득한 비밀과 노하우들을 제 37회 오픈테크넷에서 이제 막 오픈스택을 시작한 분들에게 살알짝 공유하기로 했다. 제목은 "OpenStack!! 이틀만 하면 나처럼 할 수 있다." 점심 먹고 바로 첫 세션이라 긴장이 되긴 하지만, 이번에는 정말 쉽고 재미있는 세미나가 되었으면 한다. 참가비도 무료이고, Canonical과 midokura에서 후회하는 이번 행사는 점심식사도 무료로 제공된다.정말 좋은 세미나가 되지 않을까 싶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 참조~!! ^^http://www.oss.kr/73723
- Total
- Today
- Yesterday
- OVN
- Java
- Swift
- 파이썬
- 오픈스택
- 뉴트론
- 네트워크
- 우분투
- 쿠버네티스
- cpu
- command
- 오픈쉬프트
- Network
- 설치
- 하둡
- install
- 컨테이너
- ubuntu
- 김미경
- neutron
- 세미나
- Redhat
- openstack
- 레드햇
- Python
- sdn
- 클라우드
- 후기
- 명령어
- NO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