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서비스 구성도도 그렸고, 서버 준비도 완료를 하였습니다. 이제 컨트롤러 노드를 한번 설치해 볼까요?이번에 컨트롤러 노드의 모든 서비스를 다 설치를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내용이 너무 많아서죠~!! 오늘은 지난 시간에 그렸던 서비스 구성도에서 아래 노란색깔로 표시해 놓은 써포팅 서비스와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것입니다. 그럼, 한번 시작해 볼까요~~~ 컨트롤러 노드를 설치해 보자 서버를 준비하고 최신 우분투 서버를 설치했으면 이번에는 컨트롤러 노드를 설치하겠습니다. 컨트롤러 노드는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서비스, 오픈스택 기본 서비스,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옵션 서비스가 설치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오픈스택을 설치하려면 가장 먼저 네트워크 IP를 설정해야 합니다. 모니터링과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다시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는 것 같습니다.그동안 책이 출간되고 세미나에 강의에 정신이 없어서 글을 쓸 시간이 없었던것 같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연재한 OpenStack Class 강좌 내용은 모두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에 포함하였습니다. 계속 이어서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에 있는 내용을 모두 이곳에 연재를 할까 합니다. 이곳에서 연재되는 강좌도 많이 많이 사랑해 주세요~!! 지금까지 우리는 데브스택을 설치해서 오픈스택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데브스택은 서버를 재부팅 했을 때 서비스를 재시작하기 어려워 다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또한 개발중인 소스를 받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불안정합니다. 그래서 서비스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메..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stack
- cpu
- Redhat
- 세미나
- 명령어
- 컨테이너
- 하둡
- command
- 설치
- 후기
- sdn
- install
- Network
- 우분투
- OVN
- NOVA
- 오픈쉬프트
- 파이썬
- 레드햇
- 네트워크
- 쿠버네티스
- Swift
- 김미경
- 오픈스택
- neutron
- 뉴트론
- ubuntu
- Python
- 클라우드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