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QTT는 사물 인터넷(IoT)을 위한 OASIS 표준 메시징 프로토콜입니다. 이것은 작은 코드 풋프린트와 최소한의 네트워크 대역폭으로 원격 장치를 연결하는 데 이상적인 매우 가벼운 발행/구독 메시징 전송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오늘날 MQTT는 자동차, 제조, 통신, 석유 및 가스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MQTT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Lightweight and Efficient (가벼움, 효율성) MQTT 클라이언트는 매우 작고 최소한의 리소스가 필요하므로 소형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QTT 메시지 헤더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적화하기 위해 작습니다. Reliable Message Delivery (안정적인 메시지 전달) 메시지 전달의 안정성은 많은..

지난번에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했었다. 그런데, 우분투에서 인터넷을 어떻게 연결을 해야할지 감이 오질 않았다. 물론 우분투 서버에서도 WiFi 연결은 가능했을꺼다. 그래서, 구글링을 하다보니 라즈베리 파이 데스크탑을 설치하면 WiFi도 설정할 수 있고, VNC를 통해 데스크탑 UI도 접속할 수 있다는 걸 알았다. 다시 삽질을 한다고 생각을 하고 SD 카드의 기존 내용은 모두 삭제하고, 라즈베리 파이 데스크탑을 다시 설치했다. 그리고, 지난번과 같이 TV 화면에 연결했다. 내가 처음 본 라즈베리 파일 데스크탑 화면은 정말 근사했다. 화면에 석양이 지는 이 아름다운 화면이 내게 감동을 가져다 주었다. 이렇게 잠시 배경화면을 감상하고 있다가, Next 버튼을 클릭하고 운영체제 설치를 시작했다. 먼저..

얼마전에 오픈스택 한국 커뮤니티에서 진행하는 ARM 서버 스터디 그룹에 가입을 했다. 평소에 친하게 지내는 유명환 대표님이 하고 있는 일이기도 하고 해서 ARM 서버가 어떤애인지 그걸로 어떤일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하기도 해서 그리고, 저전력 서버라고 하니까 이래저래 궁금한 마음에 스터디 그룹에 가입을 했다. 그리고, 오랫동안 커뮤니티 사람들을 만나지 못해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과 이야기하고 함께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싶기도 했다. 스터디 그룹 첫모임을 나갔을때 유명환 대표님은 작은 라즈베리파이 키트를 하나씩 나눠 주셨다. 나중에 라즈베리파이와 ARM 서버를 연동하여 무언가를 할 꺼라면서... 몇일동안은 그냥 라즈베리파이 키트는 그냥 방 한 구석에 던져놓고, 거들떠 보지도 않았다. 그런데, 몇일이..

I attendted at Open Infra Days Asia 2021 event. And I presented about how to calculate the cloud system operating rate. It is little difficult to speak English. Because I need to speak a lot of numbers and formula. So I just presented with Korean. But I want to share my slide in English for other country's user goup members. I uploaded my slide at slide share. Below is this slide. [Open infra] h..

얼마전에 클라우드 가상화 비율이라는 글을 포스팅한적이 있었다. 그때 나는 클라우드 시스템은 7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포스팅을 했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왜 70%을 권장하는지를 물어봤었고, 궁금해 하는 분들이 꽤 있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때는 70% ~ 80% 이상을 사용하지 말라고 학교에서 그리고, 많은 운영부서에서 선배들로부터 그렇게 배워왔던것 같다. 그래서, 그냥 그렇게 사용해야 되는거구나! 라고 생각을 했지 왜 70% 이상을 사용하면 안되는건지에 대해서는 사실 생각해 본적은 없는것 같다. 그런데, 사람들하고 이야기를 하다보니 그럴걸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운영 비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클라우드의 핵심 ..

요 근래에 고객사에서 프로젝트를 하면서 클라우드 가상화 비율에 대해 고민을 한 적이 있다. 요즘에는 클라우드 하면 가상머신과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스택이나 쿠버네티스와 같은 환경을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한다. 가상머신 서비스(*가상머신 서비스를 컴퓨트 서비스라 부르기도 함)를 제공하는 오픈스택과 컨테이너 서비스를 하는 쿠버네티스는 비슷하면서 성격이 매우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가상머신(컴퓨트) 서비스 - 오픈스택 가상머신을 제공하는 컴퓨트 서비스인 오픈스택은 일반적으로 모든 클라우드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컴퓨트 노드에 10개의 가상 머신을 생성했다면 여기서 실제로 호스트 노드의 자원을 사용하는 가상머신은 10개 중 5개라고 가정을 하는것이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가상자원을 ..

오픈스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마도 네트워크일 것이다. 사실 레드햇 오픈스택의 기본 네트워크는 ML2기반의 OVS였다. 그런데, 지난 2월에 릴리즈된 레드햇 오픈스택 16.1 (커뮤니티 버전: Train)부터는 운영체제가 RHEL 7에서 RHEL 8로 변경되었고, Neutron 네트워크는 ML2기반의 OpenvSwitch 에서 Open Virtual Network라는 SDN 으로 변경되었다. 기본 오버레이 패킷 변경 기존 ML2/OVS 환경에서 오버레이 패킷은 VXLAN이였고, 패킷 헤더는 아래와 같이 생겼었다. OVN 환경에서 오버레이드 패킷은 Geneve로 변경이 되었고, 패킷 헤더는 아래와 같이 VXLAN보다 훨씬 길어졌다. Geneve 패킷은 VXLAN보다 길이가 길다. 정확하게 세어보지 않아서..

요 근래에 고객사에서 KVM 하이퍼바이저에서 생성된 VM이 사용하고 있는 자원 사용률을 확인할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저는 virsh 명령어를 이용해 유용하게 VM의 자원 사용률을 확인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KVM에 위에 생성된 VM에 할당해 준 VCPU는 호스트의 몇 번 CPU를 사용할까? 하고 궁금증이 일어났습니다. 분명히 봤는데, 기억이 안나서 오늘 virsh 명령어를 살펴보다가 내가 생성한 VM의 VCPU가 호스트의 몇번 CPU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는 virsh 명령어를 찾아냈습니다. 그래서, 잃어버리전에 블로그에 적어놓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제가 사용하는 노트북에는 오픈스택을 설치하기 위한 VM들이 KVM 하이퍼바이저 위에 생성되어 있어요. 제 노트북의 CPU는 ..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KVM 이 설치된 호스트의 시스템 정보와 사용량을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KVM 위에 생성된 VM의 자원 정보 및 사용량에 대해 어떻게 모니터링하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오픈스택의 컴퓨트 노드에 생성된 인스턴스를 이미 고객이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했을 경우 운영자는 고객의 VM에 접속하여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거나 모니터링을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VM의 자원정보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자원 증설 계획을 세울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준비하는 동안에 잠시 사용하는것이 좋겠지요~!! 인스턴스(VM) 자원 정보 확인하기 이번에는 주변에 있는 리눅스 서버에 먼저 접속을 해 봅시다. 그리고, 해당 서버에 KVM이 설치되어 ..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니터링 시스템이 없을경우 오픈스택의 컴퓨트 노드에 구성된 하이퍼바이저인 KVM을 virsh 명령어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에 제가 고객사에 오픈스택 환경을 점검하러 갈 사례가 꽤 있었는데요~!! 그럴때마다 물어보는게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나요? 라는 질문이였어요. 물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거나, 그럴 역량과 시간이 되지 않는다면 누군가가 개발해 놓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면 됩니다. 물론, 시스템을 구축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그동안은 KVM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인 virsh 명령어를 이용해 컴퓨트 노드의 VM 개수 및 해당 VM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호스트 노드(여기서는 컴퓨트 노드가 되겠죠~!..
- Total
- 1,107,378
- Today
- 20
- Yesterday
- 114
- cpu
- 쿠버네티스
- 우분투
- 후기
- Java
- NOVA
- 하둡
- 하이퍼바이저
- install
- sdn
- 네트워크
- OVN
- 세미나
- openstack
- 컨테이너
- 클라우드
- Swift
- 뉴트론
- Redhat
- neutron
- 오픈스택
- Network
- ubuntu
- command
- 설치
- 파이썬
- Python
- 명령어
-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 오픈쉬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