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ack Class] 제26강 Neutron 설치 3편 - DevStack을 이용한 오픈스택 설치!
안녕하세요~!!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자고 해 놓고 가상서버만 생성하고 아무것도 안하고 있었네요~!! 오늘에서야 다음 강의를 포스팅해 봅니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버철박스를 이용하여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서버에 우분투를 설치했으면 이제부터 오픈스택을 설치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데브스택을 설치하기 전에 사전 준비를 합니다. 사전 준비는 지난 제20강 오픈스택 설치 5편 -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자! 에서 다루었으므로 지난 강의를 참고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이제 DevStack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받고 Neutron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git을 이용해 DevStack 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합니다.
stack@ubuntu:~$ git clone git://github.com/openstack-dev/devstack.git Cloning into 'devstack'... remote: Reusing existing pack: 16318,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7,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7/7), done. remote: Total 16325 (delta 2), reused 1 (delta 0) Receiving objects: 100% (16325/16325), 4.13 MiB | 289 KiB/s, done. Resolving deltas: 100% (11176/11176), done. |
2. devstack 이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되었는지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확인합니다.
stack@ubuntu:~$ ll total 24 drwxr-xr-x 3 stack stack 4096 Mar 7 11:23 ./ drwxr-xr-x 5 root root 4096 Mar 7 11:20 ../ -rw-r--r-- 1 stack stack 220 Apr 4 2012 .bash_logout -rw-r--r-- 1 stack stack 3486 Apr 4 2012 .bashrc drwxr-xr-x 10 stack stack 4096 Mar 7 11:24 devstack/ -rw-r--r-- 1 stack stack 675 Apr 4 2012 .profile stack@ubuntu:~$ |
3. 이번에는 localrc 파일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ocalrc 파일은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서비스의 설치 유무를 결정할 수 있고, nova-network로 설치할 것인지, neutron으로 설치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single node, neutron 방식으로 DevStack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ack@ubuntu:~/devstack$ vi localrc ########################### # Date : 2014.10.27 # # Name : naleejang # ########################### # Devstack localrc for neutron all-in-one
# default HOST_IP=10.0.3.15 DEST=/opt/stack
# logs LOGFILE=$DEST/logs/stack.sh.log VERBOSE=True LOG_COLOR=False SCREEN_LOGDIR=$DEST/logs/screen
# network ip FLOATING_RANGE=192.168.0.0/24 PUBLIC_NETWORK_GATEWAY=192.168.0.100 Q_FLOATING_ALLOCATION_POOL=start=192.168.0.200,end=192.168.0.250
# neutron - networking service DISABLED_SERVICES=n-net ENABLED_SERVICES+=,q-svc,q-agt,q-dhcp,q-l3,q-meta,q-metering,neutron
# neutron - load balancing ENABLED_SERVICES+=,q-lbaas
# heat - orchestration service ENABLED_SERVICES+=,heat,h-api,h-api-cfn,h-api-cw,h-eng HEAT_STANDALONE=True
# ceilometer - metering Service (metering + alarming) ENABLED_SERVICES+=,ceilometer-acompute,ceilometer-acentral,ceilometer-collector,ceilometer-api ENABLED_SERVICES+=,ceilometer-alarm-notify,ceilometer-alarm-eval
# system password ADMIN_PASSWORD=openstack MYSQL_PASSWORD=openstack RABBIT_PASSWORD=openstack SERVICE_PASSWORD=openstack SERVICE_TOKEN=tokentoken |
4. localrc 파일 설정이 완료되면 stack.sh를 실행하고, 30여분정도를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stack@ubuntu:~/devstack$ ./stack.sh |
이렇게 해서 Neutron을 이용한 오픈스택을 설치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설치한 오픈스택을 이용하여 Neutron 네트워크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요!! ^^